겨울은 날은 춥지만

 

밤하늘에 밝은 별이 유독 많은 계절이라서

 

천체 관측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는

 

나름의 로망이 있는 매력적인 계절이 아닐까 생각한다.

 

(어디까지나 북반구 쪽 내가 살고 있는 위도 쯤에 사는 사람에게만 해당할 수도 있겠다.)

 

 

 

 

 

 

홀로 탁트인 공터에서

 

어둠에 익숙해진 눈으로 밤하늘의 별을 보고 있을 때면

 

어딘지 모르게 벅차오르는 마음 한 켠으로

 

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내면까지 들어와서인지

 

어쩐지 쓸쓸하거나 공허한 기분이 불쑥 올라오곤 한다.

 

추운 겨울밤의 기운을 쫓으며

 

최소 수백년 전부터 달려왔을 별빛들이 아스라히 번지는 것을

 

하염없이 보다가

 

막막함과 위로가 뒤섞인 채 돌아와 곤히 잠들던 때도 있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오늘 베텔기우스가 많이 어두워졌다는 

 

기사를 보았다.

 

꽤 예전부터 있던 베텔기우스 초신성 폭발 떡밥이 다시 스물스물 올라오던데

 

여하간 관측 사상 가장 어두운 것 맞는 사실이라고 한다.

 

(어쩌면 이미 다 폭발했을 수도 있다. 초신성 폭발 전에 별들은 갑자기 어두워지곤 한다.

 

그냥 변광성인 베텔기우스의 일시적인 밝기 변화에 괜한 호들갑 떠는 것일 수도 있고....)

 

오리온 별자리는 어쩐지 예전부터 늘 항상 특별하게 느껴지곤 했는데

 

대낮같이 밝은 도시의 밤 한 가운데서도

 

빛나는 성광이 감추어지지 않아

 

내면 밑바닥에 잠시 넣어둔

 

항상 무언가 기다리고 있는듯한 조급함까지 내리비추어

 

잠시 잊고 지냈던 무언가를 상기시켜주는 동시에

 

헛헛함을 달래주는 듯하기 때문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만약 베텔기우스 초신성 폭발의 순간을 내 생애 내에 조우할 수 있다면,

 

아니 사실 단 한 순간이라기에는 약간은 긴 시간...

 

아마 약 2주간은 낮에도 보일 만한 거대한 빛의 폭발일 터이지만

 

우주적 관점에서는 그야말로 찰나에 불과하기에

 

순간이라는 표현이 여전히 더할나위 없이 적합할 것이다.

 

여하간에 그 순간을 조우한다면 이는 실로 범상치 않은 일임이 틀림없다.

 

최소한 피라미드를 지었던 고대인,

 

아니 미처 현생 인류로 진화하지 못했던 그 때부터 

 

현대에 살아가는 그 누구도

 

베텔기우스의 최후는 여지껏 본 적이 없는 매우 특이한 사건이며

 

아마 우리 세대는 베텔기우스를 실제로 본 마지막 세대이며

 

동시에 베텔기우스의 최후의 모습까지 본 유일한 세대가 될 것이기에

 

이는 매우 각별힌 순간임에 틀림없다.

 

 

 

 

 

사실 그 순간을 우리가 알아차릴 때쯤

 

실제로는 대략 650년 전쯤에 이미 모두 정해진 사건이고

 

지금 남아 있는 건 별의 잔해일 뿐이겠지만

 

이미 어딘가쯤에 결정되어 버린 나의 삶의 종말의 순간이

 

수백광년을 지나 어딘가쯤 그 누군가에게 도달했다는 관점으로 생각해 본다면

 

이는 존재했던 그 시간만큼 그 모든 것이 계속해서 우주를 가로지르며 

 

무한히 퍼져나갈 것이라는 것 역시 깨달을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 

즉 아주 보잘 것 없는 먼지 같은 존재의 하루하루라 하더라도

 

실로 영원히 발생한 일이 없기도 하며,

 

영원히 존재하고 있기도 하며,

 

영원히 최후의 순간 너머에 있기도 하다.

 

이런 것에 대해서 생각해 볼 때

 

여전히 아무 감흥이 없다면

 

그것은 더이상 내가 아닌 듯 하고

 

나의 우주 역시 없어진 셈이다.

 

좋아했던 노래, 좋아했던 영화, 좋아했던 책의

 

좋았던 부분을 다시 돌려보듯이

 

어딘가 이 우주의 시공 안에는

 

아주아주 작지만 나의 좋았던 순간들도

 

틀림없이 남아 있을 것이며 영원히 퍼져나갈 것이다.

 

 

 

 

한편으로 우주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것들은

 

매우 평범하고 흔한 일이며, 때때로 이미 다 결정되어 있는 사건에 불과할지 모르겠지만

 

이 모든 존재의 순간들이

 

조우하는 시점을 경험한다는 것은

 

나의 인식 안에서는 여전히 범상치 않은 일이며 기적같은 일이다.

 

돌이켜 보건대 그것은 매순간

 

아니 영원히 그랬던 것이고, 앞으로도 그럴 터이다.

 

'숨비소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착각  (0) 2020.07.31
최적화 단상  (0) 2020.07.08
추세  (3) 2020.04.22
낙관에 대하여  (4) 2020.02.24
동력  (1) 2019.04.26

+ Recent posts